대학원
대학원 교육과정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연구하는데 기본이 되는 각종 문헌사료와 도서를 해설하며, 사서의 편찬체제와 편찬과정, 사료의 수집과 해석 및 사료의 감별법과 분석·비판력을 기르게 한다. 역대의 정사와 야사류를 비롯하여 정부연대기, 지지류, 법전류, 문집과 고문서류, 그리고 한국사에 관계되는 중국·일본 측 및 구미 측 자료까지 중점적으로 해제한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여러 가지 특수한 상황을 갖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자연지리적 특성으로 대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특히 고대부터 중국과 깊은 관련이 있었으며 중세이후로는 일본 또한 우리역사와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전통사회와 외세와의 관계를 외래문화수용과 전통문화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한다.
한국사상을 고대로부터 최근세에 이르기까지 통사적으로 사상사적 맥락에서 연구한다. 특히 한국사상에서 나타나는 사상들의 연원, 형성 및 발전과정을 고찰한다.
한국사학의 자료 및 남은 기록들, 사서 각각의 내용, 편찬태도, 경위 등을 살펴 그 가치를 파악한다. 전통사학의 인식 범위와 발전과정을 검토하고, 역사가들의 사관, 자료, 업적을 연구한다. 이는 근대사학의 발전과정을 이해하고 현대사학의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한국고대사로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사회경제사의 발전단계를 규명하고 각 단계에 있어서 경제구조 및 이행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에 대한 사회구성적 인식을 확립한다.
고대로부터 최근세에 이르기까지 정치제도, 법률제도 등을 통시적으로 공부하되, 특히 각 시대별 기본사료를 정리하여 주변국가와 비교 분석한다. 또한 한국사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언급되었던 정치문제가 경제·사회·문화 등 다른 여러 분야와 가지는 관련점을 살펴보고 한국정치제도의 특수성을 재조명한다.
동아시아의 전통적 역사연구와 서술의 방법을 고찰한다.
동아시아사 특히 중국과 일본사에 에서의 주요문제를 개괄적으로 연구하여 동아시아사의 이해를 증진한다
서양의 역사서술과 이론을 시대별, 지역별, 인물별로 연구고찰한다.
서양사학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여러문제를 개괄한다.
현대 동아시아사학의 연구동향과 성과를 깊이 있게 다룬다.
고대에서 근세까지 동아시아의 서방과의 문화교류를 고찰한다.
동아시아사회 경제사의 발전과정을 고찰한다.
현대사학의 연구동향과 성과를 깊이있게 다룬다.
서양의 전통적인 사회가 근대에 이르러 새로운 사회로 바뀌어 가는 과정을 검토한다.
서양사회 경제사의 발전과정을 고찰한다.
고려사회는 가문과 문벌을 중시하는 지배신분층으로서의 귀족들이 그들의 신분적 특권을 세습적으로 향유하면서 사회를 귀족제적인 테두리 안에서 운영해갔다고 이해하기 때문에 귀족제 사회로 부른다. 신라의 골품제사회가 형성되어 조선의 양반사회로 넘어가기 이전까지 존재한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라는 역사적 소산물로 한정시켜 이해하는 논거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의 해명을 위해 蔭敍制 功蔭田柴法 통혼권을 분석한다. 그 과정에서 1970년대 중반이후 고려사회의 성격을 귀족제로 볼 것인지, 아니면 관료제로 볼 것인지를 두고 벌어졌던 논쟁의 제학설들을 검토한다. 아울러 고려의 관제 및 과거, 전시과, 지방제도 등의 각종 제도의 성립과 변천 등이 고려의 귀족사회의 형성과 변천에 미친 영향과 그들의 족적기반 등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고려시대의 전 분야에 걸쳐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사항을 적출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고려사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것이 본 강좌의 목표이다. 이를 통해 고려사를 여러 시기로 구분함과 동시에 각 시기의 시대적 특징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고려시대의 정치·경제·사회·문화·사상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중요한 과제를 선정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연구·정리하는데 본 강좌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주제의 연구사적 정리와 기초 자료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가설을 제시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고자 한다.
한국고대사 연구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사료의 제한이라 하겠다. 특히 문헌자료가 절대부족하고 이의 활용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문헌자료에 대한 성격규명과 사료 활용상의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고고학·인류학·사회학·고대어·지리학 등 인접학의 이론과 성과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본다.
조선조 후기의 실학의 개념, 발생배경, 실학자의 계보, 실학사상의 사회개혁사상으로서의 추이를 점검하고 실학의 개념, 실학과 개화사상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또한 실학연구사도 점검한다.
조선전기(1392-1592) 양반사회의 성립과정, 양반사호의 내부구조와 제 특성 및 양반사회의 변질과정을 연구한다.
조선왕조전기(15~16세기)의 제 문제(양반 ‘성리학’ 과거제도 ‘수취체제’ 지방제도 ‘병제’)를 연구한다. 조선왕조 후기(17~19세기)의 제문제(임진왜란, 대동법, 균역법, 신분제도, 이서층의 변화, 향촌지배질서의 변화, 상·공업사, 농업사, 서원, 민란)를 연구한다.
민족의 형성과 초기 정치집단 성립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특히 국내외 사료(문헌)에 등장하는 초기국가의 성격과 이들이 고대국가로 발전하여 가는 과정을 고찰한다. 삼국과 가야의 분립, 통일신라, 후삼국에 이어 다시 고려로 통일되는 역사적 배경과 과정을 조명하여 본다.
한국의 선사문화와 민족의 형성 및 그 원류를 파악하고 고대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초기의 여러 소국집단이 삼국 및 가야로 성장하는 과정과 이들의 정치·사회·문화적인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신라에 의한 통일의 과정과 역사적 의의를 살펴본다.
사료의 제한과 부족으로 한국고대사 분야는 많은 논쟁이 일고 있다. 정치·사회·경제·사상·문화 등 제 부문에 걸쳐 이러한 점들을 정리하고 그 중 중점분야를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조명하여 본다. 그리고 『삼국사기』를 비롯한 국내외 문헌자료의 성격을 규명, 사료활용방법상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고대사연구의 방향을 모색한다.
한국사 연구에 기본자료인 고문서의 종류와 내용 및 그것의 시대적 변천 과정 등을 연구하여 사학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민족운동사의 맥락과 민족운동의 발전단계를 구명하고 한국근대민족운동사의 특징 및 그 실체를 파악하여 그 위상을 정립한다. 한국근대민족운동사는 세계사적 추이로서 민족적 자립과 근대화라는 이중적 과제 속에서 전개된 반제반봉건운동이었다. 따라서 이 운동이 지향한 새로운 국가의 이념과 정체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 등 많은 연구과제가 내재되어 있다. 분단된 독립국가를 이룬 현실에서 한국근대민족운동사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는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척사위정사상, 개화사상, 동학사상 등 한국근대사상을 그 시대적 형성배경과 전개과정 및 사상적 위치 등 다각적으로 분석·비판하여 그 역사적 합법칙성을 규명한다. 아울러 이들 한국근대사상의 역사적 평가를 시도한다. 한국근대사상의 객관적 인식체계의 성립을 위해 사료의 다각적 검토와 비판, 기존 연구 성과와 방법론에 대한 비판을 연구방법으로 한다.
한국근대사에서 역사적 사실의 성격규명이 쟁점화 되어 있는 분야와 사건의 문제의식 및 정확한 인식을 주로 취급한다. 또한 한국근대사는 세계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문제의 인식이 주관에 치우쳐서는 그 성격이나 특수성에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방법론상 특이점을 갖고 있다. 특히 과거의 연구성과가 일제측에 의하여 서술되었고 특징 지워졌으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시정이 시급하고 필연적임을 인식, 관계사료의 다각적 분석으로 연구토록 한다.
당대 사료가 부족한 고대사 연구를 위하여, 또 중앙사를 중심으로 남은 사서를 보완하는데 주요한 자료인 금석문을 조사, 그 내용을 판독 정리하고, 또 그 자료가 있는 지역을 조사하여 거기서 얻은 자료를 통하여 사회체계의 여러면을 밝혀낸다.
한국사에 있어서 정권의 추이과정을 사화와 당쟁이라는 형태의 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한다.
한국의 과학, 기술, 예술, 종교, 의식주생활 등의 발전과 영향을 여러 자료를 통하여 연구하며 고대의 생활사를 집중 조명하며, 이 분야에서의 인근 국가와의 상이점, 제국가간의 교류에 대하여 고찰한다.
한국고대와 중세문화는 불교와 깊은 관련이 있다. 한국의 원시종교 내용을 먼저 살펴보고 삼국시대 불교의 수용과 정치발전 그리고 문화의 성격을 분석한다. 또한 고려의 건국과 불교의 관계, 려말선초 불교의 역할 등을 찾아내고 불교가 한국 민족 문화 속에 끼친 영향을 조명한다.
한국의 역대 지방제도 가운데 군현제, 외관제, 향리제도를 중심으로 지방통치 체제와 지방사호의 발전과정 등을 연구한다. 특히 영남 지방의 한 지역을 선정하여 이를 조명하여 중앙에서의 통치조직이 지방에 실제적으로 시행되어 나온 현상까지도 검토하도록 한다.
한국현대사연구의 기본과제 및 중요쟁점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들에 대해 학설사적인 검토를 통해서 연구방법론과 분석 시각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문제의식을 다듬고 연구방향도 정비한다.
한국현대사의 연구과제중에서 기본사료가 새로 발굴되는 과정과 연구방법론상에서 전면적인 재검토가 요청되는 특수 과제를 선정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하면서 연구과정을 전문화한다.
동아시아고대사의 제문제를 연구사에 입각하여 고찰한다.
동아시아중세사의 제문제를 연구사에 입각하여 고찰한다.
동아시아근대사의 제문제를 연구사에 입각하여 고찰한다.
동아시아현대사의 제문제를 연구사에 입각하여 고찰한다.
동아시아사상의 연원, 형성 및 발전과정과 관련된 제문제를 특강형식으로 살핀다.
동아시아에서의 서구열강과 동아제국간, 그리고 동아제국상호간의 국제관계사를 고찰한다.
동아시아고중세사에 있어서 중요사료를 읽고 토의한다.
동아시아근현대사에 있어서 중요사료를 읽고 토의한다
동아시아사에 관한 제 문헌을 개관하고 이의 사료적인 가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동아시아고대의 제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동아시아중세의 제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동아시아근대의 제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동아시아현대의 제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인도, 동남아시아, 만몽 등 제 지역의 역사를 윤번으로 다룬다.
인도, 동남아시아, 만몽 등 제 지역의 역사를 윤번으로 다룬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일본사연구에 있어서 주요쟁점을 연구토의한다.
A study of basic historical materials of western history with the knowledge of historical background.
A study of main controversial issues and topics in western history.
a study of main contemporary trends of literatures on western history.
a study of main topics and issue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the western Europe.
a study of the main topics and literatures in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Europe.
A deeper study of main issues and recent literatures on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ancien t Greek and Rome.
A deeper study of main issues amd recent literatures on the political, institu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Medieva l feudalism, the nature of medieval culture and intellecture, the rise of Medieval commerce and cities.
A deeper study of main issues and recent literatures on the transitional period, civil revolutions, industrial revolut ion, labor movement, liberalism, socialism amd nationalism.
A deeper study of main issues and recent literatures on the imperialism, the social origins of nazism and the nature of capitalist world system in the post war.
A deeper study on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Europe, emphasizing humanism, enlightenment, socialism, German histori cism, 20th century idealism and post-modernism.
A deeper study of the main issues and literature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 of Europe dealing mainly with the Relig ious War of 17th century, Revolutionary War in the 18th and early 19th century, Colonial War in the late 19th century, Two World Wars and Cold War in the 20th century.
Advanced reading course of the selected historical documents in foreign languages (1)
Advanced reading course of the selected historical docluments in foreign languages (2)
Studies of literatures, primary or secondary, in a given field.
A paper writing course in a selected object on ancient Western history
a paper writing course in a selected object on medieval Western history
a paper writing course in a selected object on modern western history
a paper writing course in a selected object on contemporary history
a deeper study of issues and literatures on the history of France, England, Germany and Italy.
a deeper study of issues and literatures on the history of Russia and Eastern Europe.
a deeper study of issues and literatures on American history